본문으로 바로가기

약물이상사례

클라불란산에 의한 과민반응

조회수 : 150 등록일 : 2025-06-16

클라불란산에 의한 과민반응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external_image 기저질환이 없는 30대 여성 환자가 장염 치료 목적으로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덱시부프로펜, 엘도스테인이 포함된 약을 복용한 후 약 1시간 이내에 전신 두드러기와 가려움증이 발생하여 응급실을 방문했다.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 처치 후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원인약물 확인을 위해 알레르기내과 방문했다. 먼저,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와의 관련성 확인을 위해 아스피린에 대해 경구유발검사(oral provocation test, OPT)를 시행하였고, 별다른 증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후 항생제에 대한 감작 가능성 고려하여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복합제 및 아목시실린 단독 제제에 대해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하였고, 단독 제제에서는 피부 반응이 없었으나 복합제에서는 피부발진이 관찰되었다. 이어서 시행한 경구유발검사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확인되어, 클라불란산이 원인약물로 판단되었다. 이에 약물안전카드를 발급하고, 향후 클라불란산 성분을 반드시 회피하도록 교육했다.

 클라불란산은 아목시실린 같은 베타락탐계 항생제의 내성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사용되는 약물이다. 세균이 생산하는 ß-락타메이스는 항생제를 분해하여 무력화시키는 효소로, 클라불란산은 이를 억제함으로써 아목시실린의 항균 효과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경우 베타락탐 항생제에 과민반응이 발생하나 클라불란산 자체에 대한 선택적 과민반응도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복합제에 과민반응을 보인 환자 중 클라불란산 성분에만 반응한 사례가 제시된 바 있다.



external_image


일반적으로 약물 복용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급성 증상은 특이 IgE 항체에 의한 제1형 과민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제1형 과민반응의 기전으로는 과거에 면역세포에 의해 활성형이 된 비만세포와 호염구가 이후 해당 약제 또는 대사체와 재노출 시 히스타민 등 염증매개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매우 소량의 약물에도 심각한 전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복 노출 시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중증 반응의 위험도 존재한다.


과민반응에 대한 치료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결정되며, 경증의 경우 항히스타민제 또는 경구 스테로이드로 호전될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나 호흡곤란 등의 전신 증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주사 또는 에피네프린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약물 복용 후 발생한 급성 과민반응의 원인을 명확히 확인하는 과정은 향후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해 필수적이며, 피부반응검사와 경구유발검사로 원인 약물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확한 과거력을 확인하는 것이 의심 원인약물에서 배제하는 것이 빠른 진단에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1.   수문사, 병리학

2.  Torres-Rojas, Isabel et al. “Clavulanic Acid Is a Leading Culprit Beta-Lactam in Immediate Allergic Reactions to Penicillins.”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vol. 15,2 (2023): 201-213. doi:10.4168/aair.2023.15.2.201.

3.   Marc Pallardy, Rami et al. “Drug hypersensitivity reactions: review of the state of the science for prediction and diagnosis, Toxicological Sciences vol.  200. (2024): 11–30.doi:10.1093/toxsci2024.200.11

이전글 아목시실린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