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치료대상질환

감마나이프의 치료대상질환

감마나이프수술은 약 3~4cm 정도크기의 병소치료에 적합하며, 악성 및 양성 뇌종양, 뇌혈관질환, 그리고 기능적 뇌질환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적응증은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청신경종양
전 세계적으로 청신경 종양은 감마나이프수술의 좋은 적응증이 되고 있으며 전체 감마나이프수술의 약 15% 정도가 청신경종양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청신경종양에 대해서는 종양의 크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바로 감마나이프 수술을 시행하거나 기존 수술 후 남아있는 부분에 대해 감마나이프수술을 시행합니다. 보통 치료 성공률은 95%에 이르는데 종양의 크기가 작고 종양이나 주위에 낭종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 결과가 좋습니다. 감마나이프수술 전 청력이 있는 경우 청력이 보존되는 비율은 약 60%에 이릅니다. 수술 후 부작용으로는 드물게 안면신경이나 3차신경의 마비가 올 수 있으나 최근 그 비율은 5%이하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서울대병원에서 사용하는 치료계획 프로그램인 감마플랜과 MR 영상을 이용한 최근의 결과에서는 이러한 부작용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일반적인 청신경종양이 아닌 Neurofibromatosis type II에 속하는 청신경종양은 그렇기 않은 경우에 비해 치료 성적이 낮습니다.

참고문헌  PhiJH, Kim DG, Chung HT, Lee J, Paek SH, Jung HW(2009). "Radiosurgical treatment of vestibular schwannomas in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2: tumor control and hearing preservation." Cancer 115(2): 390-8.

 Paek SH, Chung HT, Jeong SS, Park CK, Kim CY, Kim JE, Kim DG, Jung HW (2005). "Hearing preservation after gamma knife stereotactic radiosurgery of vestibular schwannoma." Cancer 104(3): 580-90.

 Lunsford LD, Niranjan A, Flickinger JC, Maitz A, Kondziolka D (2005). "Radiosurgery of vestibular schwannomas: summary of experience in 829 cases." J Neurosurg 102 Suppl: 195-9.

 Regis, J., M. Tamura, et al. (2008). "Hearing preservation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estibular schwannoma after gamma knife surgery." Prog Neurol Surg 21: 142-51.
청신경종양뇌수막종
뇌수막종은 MRI에서 조영증강이 잘 되고 주변 뇌로 침윤하지 않아 구분이 잘되기 때문에 감마나이프수술의 좋은 적응증이 되며 전 세계적으로 감마나이프수술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뇌수막종은 수술적 치료를 우선으로 하지만 뇌기저부에 있거나 정맥강을 감싸고 있는 경우와 같이 수술하기 어려운 부위에 있을 경우, 환자가 수술 받기 어려운 상태에 있을 때, 또는 수술 후 종양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감마나이프수술이 좋은 치료방법이 됩니다. 감마나이프수술의 결과를 보면 종양이 줄어들거나 성장이 멈춰 수술이 성공하는 비율이 약 90%정도, 재발률은 평균 4%정도이며 부작용 비율은 4%, 수술중 사망하는 경우는 전혀 없습니다. 발생 할 수 있는 부작용은 종양이 있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종양이 정맥강 등 뇌신경과 가까울 경우 해당 뇌신경의 장애가 있을 수 있지만 그 비율은 극히 낮습니다. 종양이 시신경에 가까울 경우에는 조사하는 방사능의 양을 줄여서 시술하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다른 곳에 있을 경우보다 낮습니다. 또, 종양이 뇌 주변부에 위치할 경우 간헐적으로 뇌부종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수술할 경우 재발률이 약 14%, 부작용 비율이 20%, 사망률이 9%정도인 것과 비교해 볼 때 감마나이프는 수술에 필적하는 좋은 치료성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HanJH, Kim DG, Chung HT, Park CK, Paek SH, Kim CY, Jung HW(2008).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skull base meningiomas: long-term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72(5): 1324-32.

 Kim DG, Kim CH, Chung HT, Paek SH, Jeong SS, Han DH, Jung HW (2005). "Gamma knife surgery of superficially located meningioma." J Neurosurg 102 Suppl: 255-8.

 Kondziolka, D., D. Mathieu, et al. (2008). "Radiosurgery as definitive management of intracranial meningiomas." Neurosurgery 62(1): 53-8; discussion 58-60.

 Pollock, B. E. (2003).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intracranial meningiomas: indications and results." Neurosurg Focus 14(5): e4. 뇌수막증뇌동정맥기형
뇌동정맥기형이란 뇌에 있는 동맥과 정맥이 정상적으로 모세혈관을 통해 이어져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 연결되어있는 기형적 혈관덩어리입니다. 대부분 선천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출혈을 하지 않고 경기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며, 혈관이 터져 출혈하였을 경우에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1971년 뇌동정맥기형에 대한 감마나이프수술이 처음 이루어진 이래 이제는 하나의 치료방법으로 자리를 잡아 작거나 중간 크기의 기형에 대해서는 바로 감마나이프수술을 시행합니다. 기형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뇌색전술을 시행하고 감마나이프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최근에는 먼저 약한 방사선을 조사하여 동정맥기형을 크기를 작게 한 후 다시 감마나이프수술을 실시하여 완전히 기형을 제거하는 단계적 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감마나이프수술 후 기형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평균 2~3년 정도 걸리며 치료 성공률은 기형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작은 경우에는 80 ∼ 90% 의 성공률을 보이지만 크기가 클 경우 성공률은 40%정도입니다. 감마나이프수술에 따른 부작용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뇌부종, 낭종형성, 또는 복시나 시야장애 등이 있을 수 있으나 그 비율은 매우 낮습니다. 감마나이프 수술 후 완전 폐색될 때까지 잠복기에는 치료하기 전과 같은 비율로 출혈의 위험성이 있으나 완전히 막히고 난 다음에는 출혈의 위험이 없습니다. 경기가 주증상이었던 경우, 동정맥기형이 치료 된 후에도 계속 경기를 할 수 있는데 이는 수술로 기형을 제거했을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써 대부분 약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YangSY, Kim DG, Chung HT, Paek SH, Park JH, Han DH (2009). "Radiosurgery for large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cta Neurochir (Wien) 151(2): 113-24.

 Han JH, Kim DG, Chung HT, Park CK, Paek SH, Kim JE, Jung HW, Han DH (2008). "Clinical and neuroimaging outcome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fter Gamma Knife surgery: analysis of the radiation injury rate depending on the arteriovenous malformation volume." J Neurosurg 109(2): 191-8.

 Karlsson, B., H. Jokura, et al. (2007). "Is repeated radiosurgery an alternative to staged radiosurgery for very large brain arteriovenous malformations?" J Neurosurg 107(4): 740-4.

 Nataf, F., M. Schlienger, et al. (2007). "Microsurgery or radiosurgery for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 study of two paired series." Neurosurgery 61(1): 39-49; discussion 49-50.
뇌동정맥기형 치료전, 2년후 비교사진전이성뇌종양
전이성 뇌종양은 몸의 다른 부위에서 생긴 암이 전이되어 뇌에 발생한 종양을 말합니다. 전이성 뇌종양은 처음부터 뇌에서 생기는 악성뇌종양과는 달리, 보통 모양이 둥글고, 주변 정상 뇌조직과 잘 구별되며 진단장비의 발달에 따라 크기가 작을 때 발견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감마나이프수술의 좋은 대상 중 하나입니다. 다발성인 경우에도 한꺼번에 치료가 가능하며, 뇌에 새로운 전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반복적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감마나이프수술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공률은 약 90%이며, 평균 기대수명은 약 11개월로써 종래의 수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감마나이프 수술 후 사망하는 것은 뇌종양 자체보다는 원래 다른 부위에 있던 암이 진행하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종양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원래 암이 잘 치료되고 있고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없을 경우에는 훨씬 긴 잔여수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감마나이프 수술은 하루에 끝나고 다음날부터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수술에 비해 환자 부담이 훨씬 적고 보다 활동적인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문헌  YangSY, Kim DG, Lee SH, Chung HT, Paek SH, Kim HJ, Jung HW, Han DH(2008). "Pulmonary resection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gamma-knife radiosurgery for synchronous brain metastases." Cancer 112(8): 1780-6.

 Kondziolka, D., J. J. Martin, et al. (2005). "Long-term survivors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brain metastases." Cancer 104(12): 2784-91.

 McDermott, M. W. and P. K. Sneed (2005). "Radiosurgery in metastatic brain cancer." Neurosurgery 57(5 Suppl): S45-53; discusssion S1-4. 전이성뇌종양 치료전과 3개월후 사진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