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리손에 의한 과민반응
에프리손에 의한 과민반응 사례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20대 남성으로 etodolac, eperisone, rebamipide, methylprednisolone, famotidine을1회 복용하였고, 복용 후 25분 정도 지나서 몸이 뜨거워지는 느낌과 함께 얼굴, 입술, 목이 부었고 몸에 가려움증을 동반한 발진과 두드러기가 발생하여 응급실 내원하여 처치를 받았다. 당시 감각이 무뎌지는 느낌도 있었고 가슴 답답함도 발생했다. 1년 뒤 다른 병원에서 loxoprofen, acetaminophen, tramadol, eperisone, mosapride를 1회 복용하였고 동일하게 얼굴, 목, 입술이 부으면서 전신 가려움증을 동반한 발진과 두드러기가 발생하여 원인 약물 파악 및 복용 가능한 약물 확인 위해 알레르기 내과 내원하였다. 이전 감기약 복용시에는 이상반응이 없었으며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 및 음식 알레르기 이력 없다. 입원하여 약물 경구 유발 시험 진행하였으며 aspirin 200mg과 400mg 모두 음성 확인되었다. 이후 eperisone 25mg 경구 유발 시험 진행하였고, 투약 30분 이내 후두 부종이 발생하였다. Eperisone을 50mg으로 증량 후 30분 이내 가려움증 발생하였지만, 확실한 진단을 위해 한 달 뒤 외래에서 다시 eperisone 경구 유발 검사 시행하였다. Eperisone을 재복용한 후 다시 발적과 가려움증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앞으로 eperisone은 회피하기로 하였으며 약물안전카드 발급하였다.
Eperisone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신경전도를 감소시키고 근육 긴장도를 낮추어 근육을 이완 시켜주는 약이다.1,2) 동통성 근육연축과 경직성 마비에 많이 사용되며3) 진통제와 같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아서 약물에 의한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eperisone을 원인 약물로 우선 지목하기는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들에 대한 과민반응 발생 빈도가 높아서 NSAIDs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지만 NSAIDs가 아닌 eperisone에 의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eperisone과 NSAIDs 모두에 대해 과민반응인 경우도 있어서 반드시 원인 약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eperisone은 다른 근이완제에 비해 진정 효과가 적어서 국내에서 빈번하게 처방되고 있으며 어지러움, 오심, 소화불량과 같은 경증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드물게 eperisone에 의해 아나필락시스도 보고된 바 있다.1,3,5,6) 따라서 epersione에 의한 과민반응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아야 하여 eperisone이 원인약물로 의심이 될 경우 조심스럽게 피부반응시험과 경구유발검사로 정확한 원인 약제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정확한 과거력을 확인하여 안전한 약물을 파악하고 의심 원인 약물에서 배제하는 것이 빠른 진단에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1. Park GY, Sohn JE, Moon MR, et al.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of central muscle relaxants including eperisone: Analysis of KAERS data. JPERM 2020;12:79-84.
2.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Eperisone. February 16 2023. Available from: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C%97%90%ED%8E%98%EB%A6%AC%EC%86%90(eperisone).pdf. Accessed February 16, 2023.
3. KFDA. Eperisone. February 16 2023. Available from: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198902330. Accessed February 16, 2023.
4. Gomes ER, Demoly P. Epidemiology of hypersensitivity drug reactions.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5;5:309-16.
5. Kim SH, Lee JC, Kim SH, et al. Anaphylaxis caused by muscle relaxant (eperisone hydrochloride).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1:172-5.
6. Kang DY, Lee J, Sohn KH, et al. A case series of eperisone-induc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22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