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약물이상사례

이리노테칸에 의한 콜린성 증후군

조회수 : 2,521 등록일 : 2024-10-01

이리노테칸에 의한 콜린성 증후군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external_image  60대 남성 환자가 대장암으로 진단받아 FOLFIRI + Cetuximab (5-fluorouracil, leucovorin, irinotecan, cetuximab) 요법을 계획하였다. FOLFIRI + Cetuximab 첫 번째 주기 이리노테칸 투여 시작 146분 후 식은땀, 어지러움, 복부 불편감 및 설사 1회 호소하여 아트로핀 0.5mg IV 투여하였습니다. 이후 증상 호전되었고, 항암제 투약을 완료하였다. 이에 다음 주기부터는 이리노테칸 투여 시작시 전처치 약물로 아트로핀을 투여하였고, 동일한 증상 발생하지 않았다.


이리노테칸은 간에서 활성체인 SN-38로 전환되며, 세포 분열 시 필요한 효소인 토포이소머라아제 I에 결합하여 DNA-효소복합체를 안정화시킴으로써, DNA 단일 가닥 절단을 생성하고 궁극적으로 세포 사멸을 초래하는 세포 독성 항암제이다.

이리노테칸의 주요 부작용은 콜린성 증후군을 포함한 소화기계 증상으로, 이는 SN-38에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N-38은 체내에서 글루쿠론화 과정을 거쳐 비활성화되는데, 글루쿠론화 대사가 저해될 경우 체내 SN-38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호중구 감소 및 설사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리노테칸에 의한 급성 콜린성 증후군 증상 중 조기 설사 부작용이 가장 빈번하며, 복통, 결막염, 비염, 저혈압, 발한, 오한, 권태감, 시각 장애, 근종, 눈물, 침 분비 증가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리노테칸 투여 후 발생하는 설사는 24시간 이내에 시작되는 조기 설사와 24시간 이후 시작되는 지연성 설사로 구분되는데, 조기 설사는 아트로핀으로 조절하고, 지연성 설사는 로페라마이드로 증상을 조절한다.

현재 국내 허가사항에서는 이리노테칸으로 인한 콜린성 증후군환자에게 예방 또는 치료 목적의 아트로핀 투여를 고려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이리노테칸에 의한 콜린성 증후군에서 항콜린제의 예방 효과가 보고된 바 있어 그 효용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참고문헌>

1. Gilbert, D. C., et al. "Topoisomerase I inhibition in colorectal cancer: bio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s." British journal of cancer 106.1 (2012): 18-24.

2. Gandia, D., et al. "CPT-11-induced cholinergic effects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1.1 (1993): 196-197.

3. Rothenberg, Mace L., et al. "Phase I and pharmacokinetic trial of weekly CPT-11."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1.11 (1993): 2194-2204.

4. 최유옥, et al. "Irinotecan 의한 급성 콜린성 증후군 예방 목적의 Atropine 투여 적절성 평가." 병원약사회지 39.2 (2022): 174-184.

5. Paulík, Adam, et al. "Predictors of irinotecan toxicity and efficacy in treatment of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cta Medica (Hradec Kralove) 55.4 (2012): 153-9.

6. Blandizzi, Corrado,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echanism accounting for the adverse cholinergic effects of the anticancer drug irinotecan."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32.1 (2001): 73-84.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