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약물이상사례

피페라실린/타조박탐에 의한 호산구증가증 사례

조회수 : 1,320 등록일 : 2022-12-29

피페라실린/타조박탐에 의한 호산구증가증 사례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external_image

70대 남성 수술 후 감염 치료를 위해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을 투약 시작하였고, 투약 시작 4주 후부터 혈중 호산구 수치(blood eosinophil count; BEC)가 700 cells/μL 이상 관찰되어 약물을 중단하였다(Fig. 1). 약물 중단 후 BEC 수치는 감소하였으나 가려움증을 동반한 전신 발진이 발생하여 알레르기 내과 진료를 통해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을 원인약제로 의심하였고, 의심 약물 중단된 상태였으므로 항히스타민제 대증치료 후 피부 증상 호전되었다.

호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기생충 감염, 면역 반응, 알레르기 질환, 부신 기능 저하증 등에 의해서 증가할 수 있다. 정상 수치의 호산구는 말초 혈액에서 전체 과립구의 1-5%이고, 정상 호산구의 절대수는 500 cells/μL 이하이다. 혈중 호산구의 절대수가 500-1500 cells/μL 이면 경증의 호산구증가증으로 분류되고, 1500-5000 cells/μL 이면 중등증, 5000 cells/μL 초과인 경우 중증으로 분류된다. 약물에 의해서 호산구증가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물을 중단하면 정상 수치로 회복된다. 호산구는 체내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상 수치 이상으로 존재하는 DRESS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증후군의 경우 피부발진, 발열 및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드물지만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


참고문헌

1. Mejia R, Nutman TB. Evalua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marked, persistent eosinophilia. Semin Hematol. 2012;49:149-59

2.     Cacoub P, Musette P, Descamps V, et al. The DRESS syndrome: a literature review. Am J Med. 2011;124:588-97

3.     Park CS, Lee SP. Recent advances in the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hypereosinophilia.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387-95

4.     Costagliola G, Marco SD, Comberiati P, et al. Practical Approach to Children Presenting with Eosinophila and Hypereosinophilia. Curr Pediatr Rev. 2020;16:81-8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