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수 : 8 병상 |
진료과 : 흉부외과 |
시설현황 : 격리실 2 병상, 일반 6 병상 |
주요질환 |
- 후천성판막 질환
- 관상동맥질환
- 대동맥 질환
- 부정맥 질환
- 심낭질환
- 심장이식 |
간호활동 |
중환자 집중 모니터링 |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수,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등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환자 침상과 중앙에서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변화 시 즉각 대처합니다. |
인공호흡기 관리 |
호흡부전으로 자발호흡을 적절히 할 수 없는 환자들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경우, 인공호흡기 관리와 모니터, 흡인간호, 기계로 인한 합병증 예방 등 전문적이고 안전한 간호를 제공합니다. |
중환자실 특수중재 |
지속적 신대체 요법(CRRT), 일산화질소 흡입(NO inhalation), 대동맥 내 풍선펌프(IABP), 체외막산화 장치(ECMO), 심실 보조 장치(VAD), 심박조율기(pacemaker) 등의 특수중재 시 간호를 수행합니다. |
이식환자간호 |
심장 이식환자의 수술 전후 기능 유지 및 회복을 위해 집중적인 간호를 제공합니다. |
중환자실 감염관리 |
감염예방 및 교차감염 예방을 위해 격리지침 준수, 각종 카테터 관리, 손위생, 환경관리를 집중적으로 시행합니다. |
개인 위생간호 |
거동이 불편하거나 침상생활만 하는 중환자에게 침상목욕, 구강간호, 침상세발, 회음부 간호 등의 위생간호를 제공합니다. |
욕창 간호 |
욕창이 생길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공기침대 적용, 체위변경, 등마사지 등의 욕창예방 간호를 시행합니다. 또한 욕창이 있는 환자에게 여러 욕창제품을 이용하여 욕창부위의 드레싱을 시행합니다. |
중환자의 영양관리 |
환자의 소화기능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음식으로 식사를 제공합니다. 구강으로 식사가 어려운 경우 인공관을 통하여 경관미음을 제공합니다. 경장영양이 불가능한 경우 경정맥영양으로 보충하며 영양지원팀의 도움을 받습니다. |
교육 및 상담 |
신입간호사 교육 |
인공호흡기, IABP, ECMO, CRRT 등 기본원리 및 적용방법, 심전도, 투약, 간호기록에 대하여 소규모 이론 및 실습교육을 합니다. |
체험학습 |
전문심장소생술과 인공호흡기에 관하여 체험 위주의 이론과 실습 교육을 합니다. |
알기시리즈 |
매년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요구도에 따른 맞춤 교육을 합니다. 폐알기(ARDS), 머리알기(Seizure, IICP), 심장알기(IABP), 영상알기(X-ray) 교육 등이 있습니다. |
근무지 이동 간호사 교육 |
복직이나 근무지 이동이 있는 경우 인공호흡기, 최신 CPR 가이드라인, IABP, ECMO, CRRT 원리 및 문제해결 등에 관한 소규모 실습교육을 합니다. |
스터디그룹 진행 |
교육간호사의 주도하에 경력별 스터디 그룹이 있어 질환 및 시술에 따른 간호를 학습합니다. |
둘러보기 |
|
|
심폐기계중환자실 입구 |
|
|
위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