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간호 연구(1993~2021년도)
2021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병원 간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병원 사례기반 역할극을 중심으로 - |
간호교육위원회 |
Korean Nu-DESC로 평가한 외과계 병동 노인 수술 환자의 섬망 발생률과 섬망 발생 위험요인 |
외과간호과 섬망팀 |
중환자 간호단위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가중치 분석을 기반으로 |
성인중환자실 교육전담팀 |
AI 기반 욕창 병변 단계 분류를 위한 욕창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 및 딥러닝 모델 개발 |
보라매 욕창 단계 분류기 개발팀 |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간호 술기교육이 신입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보라매 교육전담간호사 사업팀 |
병원 간호사의 참여적 의사결정,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응급실 권력거리팀 |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공감피로,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61병동 간호연구팀 |
위암 수술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
NST 연구팀 |
수술 전 유방암 환자의 결정갈등과 불안 |
별관병동 ‘둥지’팀 |
신경외과 수술환자의 욕창 발생 예측요인 |
보라매 72병동 간호팀 |
간호사에 의한 조기 제세동 시행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탐색: 포커스 그룹 인터뷰 |
성인응급실 제세동팀 |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
성인중환자실 도구개발팀 |
응급센터 신입간호사의 임상적응 경험 : 학교교육과 임상실무의 차이를 중심으로 |
응급센터에 뿌리내리기팀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전화상담 분석 |
종양내과센터 교육상담실 |
2020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간호 인력이 복통환자의 진통제 투약까지의 소요시간과 투약 후 통증 재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응급센터 통증관리팀 |
소아 혈액종양 환자의 골수검사 후 침상안정시간 단축에 따른 출혈에 관한 연구 |
소아혈액종양병동 (7B병동) |
교육전담간호사제도 지원사업 평가 |
간호정책위원회 |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국내 임상 간호사의 조직몰입 연구동향 분석 |
성인응급실 조직몰입팀 |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를 이용한 응급실 적정 간호 인력 추정 |
응급센터 간호인력팀 |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중증응급환자의 사전 의사소통이 응급실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성인응급실 간호연구팀 |
상급종합병원 내과계병동 입원환자를 위한 욕창예방활동의 효과 |
내과간호과 욕창간호팀 |
2019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소아 환자분류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소아간호과 논문팀 |
고령 정도에 따른 입원 노인환자의 임상 경과 및 영양불량 위험 요인 분석 |
NST 전담간호사팀 |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의 아형별 섬망 발생률과 위험요인 및 관련 임상결과 |
SICU2 임상간호연구 |
문제기반학습이 응급실 초기평가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일치도에 미치는 효과 |
BTS(Boramae |
단장증후군 환자의 질병 경험 |
NST 전담간호사팀 |
협력의료기관 선정 개선 방안 연구– 일개 상급종합병원 내원 신환의 진료 특성 및 협력 기관의 공간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 |
진료협력 네트워크팀 |
재가 경장영양 환자의 자기 영양관리 수행도 측정 도구 개발 파일럿 스터디 |
NST 간호연구팀 |
2018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입원 환자 낙상 위험 예측 도구 개발 |
간호연구위원회 |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앱 기반 문화역량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국제진료팀 |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관련 심각한 손상의 위험요인 분석 |
내과간호과 낙상제로팀 |
비침습적 양압환기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및 인공호흡기 간호 경험 분석 |
내과간호과 인재육성팀 |
모바일 투약․수혈 시스템 적용에 따른 간호사 만족도 및 Alert 발생 요인 분석 |
보라매병원 간호정보위원회 |
2017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중환자 가족을 위한 센스메이킹 촉진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외과계중환자실 1,2 간호연구팀 |
혈액종양 환자의 골수검사 후 침상안정 시간에 따른 출혈 및 불편감의 비교 |
혈액종양병동 (101,111,서8병동) |
내과계 중환자실 입실 환자의 APACHE Ⅳ 타당도 평가 |
특수간호과 |
복통을 주호소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의 응급질환 예측인자 |
응급간호팀 |
2016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웃음치료가 위장암환자의 신체 및 심리사회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 |
암정보교육센터, CS팀 |
아동의 말초정맥주사 간호프로토콜 적용 및 효과 |
소아간호과 |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
간호연구위원회 |
임상데이터를 활용한 중환자실 간호 업무량 변화 분석 |
성인중환자실 |
DACUM기법을 이용한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응급간호팀 |
일개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전원상담 현황분석 |
진료협력팀 |
응급실에 내원한 암환자의 중증도 및 체류시간 |
성인응급실 |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 |
소아간호과 교육전담간호사팀 |
외래 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내과외래 |
전화상담을 통해 수집된 항암화학요법 Regimen별 유해사례 현황 분석 |
종양내과센터 교육상담실 |
2015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3교대 근무 간호사의 근무형태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
간호연구위원회 |
아동의 말초정맥주사 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 프로토콜 개발 |
소아간호과 |
수술실 의료진이 지각하는 환자안전태도, 수술계수타임아웃 인식 및 시행 |
수술간호과 |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한 암 환자의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Part II |
종양전문간호사회 |
수술 후 회복실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일개 종합병원의 감시마취(MAC)와 척추마취 중심) |
마취회복실 |
2014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명상프로그램이 간호사의 파워, 스트레스 반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특수간호과 |
간호사의 병원 폭력 경험 조사 |
보라매 간호부 |
한국판 암환자가 인식하는 암 간호의 질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암간호과 별관병동 |
응급실 간호사 인수인계 가이드라인 개발 |
성인응급실 |
그림색칠놀이가 수술 전 학령전기 아동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소아수술실 |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 업무량 분석 |
응급간호팀 |
영양집중지원팀(Nutrition Support Team, NST) 간호사 역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도 조사 |
54병동 |
응급실 간호사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참여의지 |
응급간호팀 |
일개 소아응급실에 방문한 환자에게 시행한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Emergency Severity Index version 4 )의 신뢰도 검증 |
소아응급실 |
2013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외과계중환자실의 수술 후 환자의 섬망 발생 감소를 위한 중재 연구 |
외과계중환자실 1,2 |
중환자실 환자의 눈 간호를 위한 근거기반 지침 선정 및 실무 적용 가능성 평가_ AGREE 도구를 사용하여 |
응급중환자실 |
간호사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CMPN; Customized Mentoring Program for Nurses)이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효과 |
간호연구위원회 |
전자간호기록에 사용된 표준간호진술문의 부가기록 사용실태 조사연구 |
간호정보위원회 |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에 관한 다수준 분석: 개인-조직 가치 일치의 조절효과 |
간호안전위원회 |
외과계 신규간호사를 위한 통합술기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
외과간호과교육팀 |
수술실 간호업무행위 분석 |
수술실 |
응급센터 환자안전 문화와 간호사의 안전 관리 활동 |
성인응급실 |
통합건강관리서비스 이용빈도 및 시간에 따른 간호서비스 이용행태 분석- 일개 대학병원 연회원제 건강관리서비스를 중심으로- |
강남센터 서비스관리실파트너스팀 |
2012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분노 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
특수간호과 62병동 |
맞춤형 암성통증관리 개별교육 및 코칭의 효과 |
종양내과센터 교육상담실 |
VSI(Video Self Instruction)가 응급실 간호사의 소생실 장비 사용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성인응급실 |
혈액투석환자 중증도분류도구의 수정 및 재검증 |
75인공신실 |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 어린이응급실의 재방문에 대한 분석- 재방문 환자 관리를 통한 응급실 운영 개선을 위한- |
어린이응급실 |
소아암 환자 보호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 요구도 비교 조사 연구 |
서8병동 |
치료적 놀이가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 치료를 받은 환아의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
소아간호과 |
일개 종합병원의 수술 후 저체온과 저체온 영향 요인 조사 연구 |
마취회복실 |
2011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의사, 간호사의 외과적 손씻기 행위와 관련요인 |
수술간호과 |
통합건강관리간호사 역할 규명을 위한 직무분석-연회원제 건강관리 서비스 중심- |
강남센터 서비스관리실 파트너스팀 |
완전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훈련이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ACLS)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특수간호과 성인중환자실 |
욕창 사정 기록의 정확성 실태 조사-전산기반간호기록을 중심으로- |
욕창 TFT팀 |
신규간호사를 위한 조직사회화 증진 모색에 관한 연구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으로 - |
간호연구위원회 |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한 암 환자의 증상관리를 위한 전화상담 가이드라인 개발 |
종양전문간호사 |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신체 억제대 적용 경험에 대한 예비조사 |
특수간호과 내과계중환자실 |
일 대학병원 어린이 병원에서Pediatric Glasgow Coma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소아간호과 |
무균실 생활 안내 동영상 교육이 소아암 환자 보호자의 돌봄지식과 돌봄 행위에 미치는 효과 |
서8병동 |
2010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외과계 중환자실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 조사연구 |
SICU |
일 대학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환자 가족의 약물 복용 인식 및 이행연구 |
소아정신전문 |
동영상을 이용한 산모교육 프로그램이 산욕기 자가간호와 신생아 양육에 대한 지식정도에 미치는 효과 |
31병동 |
외래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및 대처 방법에 대한 연구 |
외과계외래 |
중환자실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실무 교육 요구도 조사 |
특수간호과 |
이러닝과 강사시범을 이용한 신규간호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외과간호과 |
중증도 분류 도구로서의 Emergency Severity Index Version 4의 신뢰도 평가 |
응급간호팀 |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 소생실에 입실하는 호흡부전 환자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 |
성인응급실 |
일개 대학병원의 소아응급실에 내원하는 아동의 Emergency Severity Index의 적용에 따른 평가 |
소아응급실 |
2009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인큐베이터 고농도 가습 중재효과 |
신생아중환자실 |
일 대학병원 소아중환자실에서 modified Glasgow coma scale 적용의 객관성 검증 |
소아중환자실 |
어린이병원의 소아낙상위험예측도구 및 중재안 개발 |
소아간호과 |
응급중환자실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영양지원 실태와 임상적 예후와의 관계분석 |
응급중환자실 |
외과계 간호사를 위한 실무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평가 -환자안전 관점에서- |
외과간호과 |
중환자실 간호행위에 대한 표준간호시간 측정 및 분석 |
성인중환자간호팀 |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
61, 62병동 |
일회성 웃음간호가 수술 전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
54병동 |
소아응급실에 내원한 환아 보호자의 미온수 마사지 경험실태 |
소아응급실 |
일개 대학병원 내과 병동 입원 환자의 통증관리 실태조사 -전자의무기록을 중심으로- |
내과간호과 |
2008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응급상황 모의 연습이 신규간호사의 지식과수행능력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내과계중환자실 |
권역 응급의료센터 소생실 이용환자의 역학적 특성 고찰 |
성인응급실 |
웃음간호가 개복수술한 암환자의 복강내 액체저류 과다생성에 미치는 영향 |
54병동 |
투석치료를 받는 말기신부전 환아를 위한 소아청소년신장캠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환자질병태도를 중심으로 |
소아인공신실 |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경력별, 부서별 간호윤리 가치관 비교 |
간호행정팀 |
완화의료병동의 사전 돌봄 계획 기록지 개발 |
124병동 |
정신과 외래 환자가 지각하는 낙인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과 외래 |
항암화학요법 개별교육을 받는 암 환자의 교육이해도와 자가간호수행 정도 조사 |
112병동 |
전자간호기록에 사용된 간호과정 완성도 분석 -위절제술 환자를 중심으로- |
간호정보위원회 |
2007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일개병원의 소아응급실을 내원한 사고환아에 관한 조사연구 |
소아응급실 |
미숙아의 인큐베이터 가습 프로토콜 적용 효과 |
신생아중환자실 |
수술 후 능동적 통증관리 및 구조화된 흉부물리요법이 아동의 폐합병증 발생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동6병동 |
온라인 혈액투석여과법이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인공신실 |
수간호사 업무수행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
간호연구위원회 |
모유수유가 신생아 황달에 미치는 영향 |
31병동 |
2006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유방암 환자와 배우자의 친밀감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암센터 |
중환자실의 피부 및 상처간호 중재 적용 효과 |
중환자간호팀 |
정신과 환자를 위한 명상치료프로그램 적용 효과 연구 |
61병동, 37병동 |
구강간호의 빈도가 구강 위생에 미치는 효과 |
보라매중환자실 |
서울시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중환자실 이용에 대한 실태조사연구 |
응급중환자실 |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급성 폐손상 환자에게서 체위별 흉부 물리요법에 따른 객담량과 폐환기에 미치는 효과 |
내과계중환자실 |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의 표준화된 비외상성 성인심폐소생술 프로토콜 적용 및 효과 관한 연구 |
성인응급실 |
환자안전관리 교육 전,후의 간호사 인식변화 |
간호규정위원회 |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지식측정도구 개발 - 법적인 관점에서 |
내과간호과 |
미숙아의 경구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신생아중환자실 |
부모의 분노수준, 자존감, 양육태도와 자녀의 분노수준, 자존감의 관계- 소아청소년 입원가족들을 중심으로 |
동8병동 |
2005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기도관리 중재안의 적용 효과 |
중환자간호팀 |
전자간호기록 적용 전후의 직간접 간호시간의 변화 |
간호정보위원회 |
외과병동 프리셉터로서의 업무 경험에 관한 연구 |
64병동 |
간호업무 인계형식 및 내용의 표준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향상에관한 연구 |
외과간호과 |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 우수집단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간호연구위원회 |
전자간호기록에서 간호진술문 분류와 간호과정 적용 |
간호정보위원회 |
인공호흡기 적용환자에서 폐쇄형 기도흡인 전, 후 과환기와 과산소 적용의 효과 |
내과계중환자실 |
간호사에게 적용한 수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 증진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간호과 |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성인심장수술환자에게 Nebulizer를 통한 기관지 확장제 투여의 효과 |
심폐기계중환자실 |
유방절제술과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의 우울과 주관적 신체상, 성생활 변화 예상 및 남편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연구 |
마취회복실 |
전자간호기록에 사용된 간호진술문의 ICNP 맵핑 및 활용실태 |
간호정보위원회 |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암환자의 인식과 태도 |
124병동 |
전자간호기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간호정보위원회 |
2003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단기 산전 배우자 지지강화교육 프로그램이 분만과정 중 임산부 지지와 신생아 상태에 미치는 효과 |
분만장 |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는 환자의 구강점막염 발생에 대한 연구 : BMT와 NST를 시행받은 환자의 비교조사연구 |
101병동 |
일개 중환자실의 욕창간호 protocol 적용의 효과-욕창 발생율과 욕창 조기발견 중심으로- |
SICU |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어린이병원 간호사 집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소아간호과 |
일개병원 내과계 입원환자에서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의 적용성 평가-Braden 도구를 이용하여- |
내과간호과 |
수간호사 리더십, 신뢰도 및 조직문화가 간호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특수간호과 |
간동맥색전술 후 침상안정시간의 단축이 천자부위의 출혈과 요통에 미치는 영향 |
114병동 |
악안면성형술 환자의 베타딘 구강함수와 생리식염수 구강함수에 따른 구내염 및 구강불편감 지각증상에 대한 연구 |
65병동 |
2002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멘토(Mentor)와의 관계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외과간호과 |
심장수술 후 기관내 삽관된 환자에게 적용한 계획된 의사소통 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
RICU |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하여 소아중환자실을 퇴실한 아동들의 가정간호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PICU |
미숙아의 발뒤꿈치 천자시 포도당, 올비틸 시럽이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
NICU |
어린이병원 간호직원의 직무만족도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 |
소아간호과 |
음악요법 및 소음차단 중재가 중환자실 환자의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
BICU |
중환자실 간호기록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분석연구 |
중환자간호팀 |
2001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구조화된 환자교육이 혈액투석 환자의 지식정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75병동 |
분만과정 중 배우자의 지지에 대한 임산부와 배우자의 요구도 |
36병동 |
EMU(Epilepsy monitor unit) 환자의 Critical pathway 개발에 관한 연구 |
105병동 |
근치적 자궁절제술 후 구조화된 방광훈련이 배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35병동 |
락툴로즈 정체 관장의 실태조사 |
111병동 |
당뇨병 환자를 위한 발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연구 |
91병동 |
소아중환자실의 체계적 간호정보 제공이 개심술 환아부모의 불안, 지식정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PICU |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의 근무환경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
BICU |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정보 시스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직,간접 간호시간, 처치수익률 중심으로 |
전산위원회 |
주기적인 통증사정과 이에 따른 간호중재가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 |
94병동 |
간경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이교육이 자가간호수행 및 지식변화에 미치는 효과 |
114병동 |
2000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소아 환자 검사를 위한 진정제 사용에 대한 조사 연구 |
동4병동 |
재활환자의 무력감, 자아존중감, 가족지지와의 관계연구 |
82병동 |
갑상선암으로 격리 옥소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험 |
124병동 |
수술과 관련된 거즈, 봉합, 침, 기구의 계수 오차 발생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일개종합병원 수술장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
OR |
환자교육용 자료의 개발 및 전산화 |
실무교육위원회 |
1999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APACHE III와 중환자 분류도구를 이용한 내과계 중환자실의 환자 중증도 분류 |
MICU |
교육유형(집단, 개인, 병행)에 따른 당뇨환자의 당뇨지식, 자가간호이행 및 건강신념의 수준 비교분석 |
보라매71,72병동 |
일개 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극소저체중출생아들이 경험하는 접촉에 대한 연구 |
NICU |
간질환자의 교육 요구도에 관한 성인간질 환자와 의료인간의 비교연구 |
105병동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아의 구내염에 미치는 GM-CSF 함수의 효과 |
동7병동 |
혈관조영색전술 시행 환자의 표준진료지침서 개발과 간호기록지 및 환자용 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114병동 |
기관 삽관후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개심술 후 환아의 인공기도 체외 용적이 ETCO2, PaCO2, SPO2에 미치는 영향 |
PICU |
FP 항암화학요법 환자를 위한 표준진료지침서 및 간호기록지 개발 |
115병동 |
입원환자의 활력징후 측정시간 조정이 환자의 수면과 간호사의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5병동 |
개심술을 받은 환자의 체위에 따른 심박출량 및 불편감에 관한 연구 |
RICU |
암환자의 대체요법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112병동 |
정맥내 항생제 투여시 정맥 주사 통로가 정맥염 발생률과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N/C과 N/L의 비교 |
64병동 |
중환자실에서 경관영양을 받고 있는 뇌손상 환자들에게 있어서 고섬유식이의 효과 연구 |
SICU |
무헤파린 혈액투석시 지속적 생리식염수 주입법과 간헐적 생리식염수 주입법의 비교연구 |
75병동 |
1998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복식부인과적 수술환자의 수술후 조기수분섭취가 위장운동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35병동 |
맑은 유동식섭취가 위내용물의 양과 PH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21병동 |
개복수술후 요정체에 미치는 요인분석 |
OR |
죽음을 맞이하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세계 |
내과간호과 |
간호이미지에 관한 조사연구 |
111병동 |
당뇨병 환자의 자기조절행위실태조사 |
91병동 |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AIDS에 대한 지식 및 태도조사 |
95병동 |
미숙아에게 시행한 마사지가 체중증가와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NICU |
연하곤란 환자의 삼키기 훈련효과에 대한 연구 |
82병동 |
"Jacobson"과 "통증완화"이완술이 심도자술/심혈관조영술을 받는 환자의 불안과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
92병동 |
의무기록에 사용된 양식사용의 실태조사 |
94병동 |
1997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비위관 삽입기간과 함수용액 사용에 따른 구강상태 비교 연구 |
64병동 |
구강암 수술환자의 신체적 불편감, 우울 및 신체상에 관한 연구 |
구강외과 |
사회성 증진 활동이 소아정신과 입원환자들의 또래관계와 소외감에 미치는 효과 |
서7병동 |
음악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중환자실 환아의 활력징후와 활동상태에 미치는 영향 |
PICU |
간호중재에 따른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량 변화에 관한 연구 |
RICU |
교육담당간호사 방법을 도입한 신규간호사의 예비교육이 역할전이에 미치는 효과 |
유옥수 |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에서 좌욕이 수술후 잔뇨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
34병동 |
암환자 병식고지에 관한 연구 |
84병동 |
회복실에서 정상체온 회복을 위한 피부가온요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
회복실 |
복막투석환자의 도관출구 관리 재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75병동 |
유치도뇨관 삽입시 윤활제 종류가 통증에 미치는 영향 |
32병동 |
AIDS 환자와 보호자의 간호요구도 조사 |
95병동 |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의 수집모유오염상태와 모유수집방법에 관한 조사 |
NICU |
수술중 제공한 음악이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42병동 |
허혈성 심질환의 통증표현양상에 대한 조사연구 |
MICU |
금식이 신체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21병동 |
손마사지가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의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 |
111병동 |
단기시술 및 검사를 위해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구조화된 교육이 간호사의 업무량에 미치는 영향 |
124병동 |
1996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의 요로감염예방을 위한 관리실태 |
45,55병동 |
퇴원산모의 산후 자가 간호지식 정도와 수행정도에 대한 실태조사 |
32병동 |
치료를 위한 식이 교육과 관련된 간호사들의 태도, 책임, 장애요인, 수행정도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
92병동 |
정형외과 환자의 척추마취후, 12시간후의 체위변경과 6시간후 체위변경이 동통에 미치는 효과 |
41병동 |
혈액투석 환자의 중심 정맥도관에 주입한 두가지 헤파린 농도에 따른 ACT와 도관개방성 유지 비교연구 |
75병동 |
말기 암환자의 Fentanyl patch 사용실태 조사 |
114병동 |
퇴원시 간호교육이 환자의 간호요구도 및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효과연구 |
104병동 |
일개 대학병원에서 분만한 산모들의 모유수유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
신생아실 |
간호일지 기록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도 조사 |
125병동 |
소아혈액종양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업무량 측정 |
동7병동 |
암환자에게서의 진통제 투여방법이 통증에 미치는 효과 |
115병동 |
PTCA후 요통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
MICU |
수술전 가온(prewarming)이 수술받는 환자의 직장 체온 하강에 미치는 영향 |
OR |
1995년도 |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정맥염의 정도와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 연구 |
124병동 |
소아종양 환자의 요추천자후 침상 안정시간이 천자후 두통에 미치는 영향 |
동7병동 |
내과병동에 입원한 만성병환자의 병원치료식이 섭취실태 조사 |
114병동 |
비위관을 통한 유동식 투여 방법이 소화기계에 미치는 영향 |
SICU |
혈관주사 부작용으로 인해 생긴 부종에 대한 냉찜질, 온찜질, 무처치의 효과 비교연구 |
111병동 |
간환자의 건강식품섭취에 관한 실태조사 |
84병동 |
라텍스 장갑 과민반응에 대한 실태조사 |
OR |
일개 종합병원 분만장에 조기 진통으로 격리치료중인 임부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
분만장 |
혈압측정에 있어서의 수은혈압계와 자동혈압계의 비교연구 |
응급실 |
임상간호사회에서 개발한 중환자 분류 도구를 이용한 소아중환자실 환자분류와 환자관리 실태조사 |
PICU |
1994년도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항암 화학요법시 오심구토가 구강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태조사 |
94병동 |
자궁절제술 전 정보제공이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
34,35병동 |
일개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씻기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 |
NICU |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교육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 환자간의 주관적 지식정도에 대한 비교조사 |
92병동 |
수술후 정기적인 진통제 투여가 신체적 회복 및 동통감소에 미치는 영향 |
41,42병동 |
I.V.lock에 있어서 헤파린 용액과 생리식염수의 효과 비교연구 |
111병동 |
항암제 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
101병동 |
간호이미지 향상을 위한 예절교육 자가 평가 |
수련실 |
1993년도 |
|
연구제목 |
연구단위 |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영양섭취에 대한 조사연구 |
43병동 |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
MICU |
혈관주사 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
82병동 |
원발성 간암환자에 있어서 간동맥색전술 시행후 나타나는 임상증상 실태조사 |
33A병동 |
수술전 비디오 제공에 따른 수술후 환아의 동통인지 정도 |
POR |
수분섭취 배설량 기록과 간호 |
23A병동 |
구강상태 사정을 위한 도구개발 |
92병동 |
계획된 간호중재가 근 위축감소에 미치는 영향 |
보라매42병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