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약물이상사례

로모소주맙에 의한 흉통

조회수 : 66 등록일 : 2025-10-29

로모소주맙에 의한 흉통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external_image 67 여성 환자가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로모소주맙을 피하주사로 투여 받았다. 투여 4시간 흉통이 발생하였으나, 통증은 일시적이었고 별도의 처치 없이 호전되었다. 해당 환자는 근골격계 통증 가능성이 높아 보였으며, 이후 동일 약물을 이용한 치료를 계속 진행하기로 하였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로모소주맙은 스클레로스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작용을 억제하는 인간 단일클론항체다. 스클레로스틴은 골형성 억제 단백질로, 세포의 Wnt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골형성을 저해하고 골흡수를 촉진한다. 로모소주맙은 이러한 스클레로스틴의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골형성을 촉진하고 동시에 골흡수를 감소시켜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이중 기전의 효과를 나타낸다. 약물은 주로 폐경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달에 피하 투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로모소주맙 투여 관절통, 근골격계 통증, 두통 등의 이상반응이 비교적 흔하게 발생할 있으며, 주사 부위 반응도 보고된다. 드물게 호흡곤란, 흉통 심혈관계 증상이 나타날 있으므로 기저 심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투여 새로운 흉통이나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즉시 투여를 중단하고 적절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권고된다.

흉통은 원인에 따라 근골격계, 심장, 다양한 원인으로 구분할 있다. 첫째, 근골격계 통증은 근육이나 , 관절의 손상 또는 염증으로 발생하며, 골다공증 치료제 투약 드물게 보고된다. 둘째, 심장 관련 통증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이 심근 허혈로 인해 발생할 있어 즉각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관련 통증은 폐렴, 폐색전증 호흡기 질환과 연관될 있다.

로모소주맙 투약 일시적 흉통이 나타나는 경우, 이는 약물에 의한 근골격계 통증 가능성이 있으나, 심혈관계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은 특별한 치료 없이 호전되지만, 흉통이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발한, 어지럼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심혈관계 호흡기계 평가를 위해 즉시 의료기관에 내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1.    Cosman F, Crittenden DB, Adachi JD, et al. Romosozumab treatmen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N Engl J Med. 2016;375(16):1532-43.

2.    McClung MR, Grauer A, Boonen S, et al. Romosozumab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N Engl J Med. 2014;370(5):412-20.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Evenity (romosozumab) prescribing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s://nedrug.mfds.go.kr. Accessed October 10, 2025.

4.    Saag KG, Petersen J, Brandi ML, et al. Romosozumab or alendronate for fracture prevention in women with osteoporosis. N Engl J Med. 2017;377(15):1417-27.

5.    Moriwaki K, Matsumoto S. Cardiovascular safety of romosozumab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current evide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Expert Opin Drug Saf. 2021;20(9):973-83.

6.    StatPearls Publishing. Romosozumab – Mechanism of Action. Available from: https://ncbi.nlm.nih.gov/books/NBK585139/. Accessed October 10, 2025.

이전글 셀레길린에 의한 시야 흐림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체 검색

전체 검색